ARTISTS

KIM 25 CV Download

‘불확정성의 경계’: 상응(相應) 김허경(미술비평)


오늘날 회화의 현대성은 시대적 반영뿐 아니라 삶의 가변성을 함축한 독창성과 상상력에 기반을 둔다. 이는 창의성을 발현한 미적 표현방식에도 그대로 적용된다. 작가는 내면의 순 수성과 자율성을 포착해야만 현대성을 방증할 수 있다. 김이오는 2020년부터 내부와 외부에 속하는 이중적 경계, 즉 ‘불확정성의 경계’에서 안과 바깥 사이의 관계를 설정해 나가며 ‘신비의 실체’를 평면 안에 끌어들이기 시작했다. 이러 한 ‘신비의 실체’는 2021년, 비로소 자신의 내부와 외부 세계가 상응(correspond)하는 지점 에서 텍스트(Text)의 형상을 드러낸다. 자연을 상징하는 파도 위, ‘불확정성의 경계’에서 심 연 속에 갇혀 있던 ‘신비의 실체’를 수면으로 끌어올린 것이다. 김이오는 일렁이는 파도의 선상과 내부, 외부의 유동성이 상응하는 지점에 텍스트를 생성시켰다. 그림 속 파도는 잔잔 한 물결의 흔들림으로 때로는 약동하는 색채로 격렬한 감정을 표출하고 있다. 프랑스의 시인 샤를 보들레르는 자연의 운동 법칙을 주의 깊게 관찰한 결과 유기체인 자 연의 지속적인 움직임 때문에 색채는 존재하나 직선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설명한 바 있다. 이 같은 설명을 적용해보면 김이오는 직선의 존재를 부정할 뿐 아니라 유동하는 곡선과 내면의 세계, 타자를 연결해 무의식 아래 감추어진 심상의 윤곽을 다듬어 가고 있다. 여기 서 유동하는 곡선에서 생성되는 문자는 선과 색채라는 두 요소를 분리하지 않고 ‘형태를 그 린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하나의 움직임을 이룬다. 그렇다면 굽이치는 파도 위에 새롭게 창조되고 해석되는 텍스트는 무엇을 의미할까? 김 이오가 써 내려간 텍스트는 자아와 세계(우주)가 연결되는 경계, ‘불확정성의 경계’에서만 생성되는 미지의 메아리이다. 작가는 오랫동안 생텍쥐페리의 『어린 왕자』, 헤밍웨이의 『노인과 바다』, 랭보의 『일뤼미나시옹』 등을 탐독해 왔고, 그들의 시집 또는 저서 속에 서 시각적인 문장의 체계를 발견할 수 있었다. 특히 19세기 프랑스 문학은 자연의 모방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내면에 관한 무한한 동경, 예술적 상상력을 더해 주었다. 그래서일까? 김 이오의 캔버스 화면에는 지적 욕구와 탐구 정신, 인간의 욕망, 나약함을 담은 절제된 문자 들이 일렁이는 파도와 함께 율동한다. 김이오는 선과 색채가 중요한 회화요소임을 강조함으로써 유동적이고 구불구불한 곡선이 만들어낸 텍스트를 통해 선의 자율성과 색채의 해방을 시도하였다. 동시에 화면에 펼쳐진 작가의 창조적인 붓질은 기존 화면의 관습적인 위계질서를 넘어서 제한된 인간 사고의 틀 과 규칙들에 대항한다. 김이오의 작품은 자연에서 선이 색채보다 먼저 존재한다는 인식에 머물지 않고 오히려 선과 색, 또는 두 색채가 서로 만나는 지점을 포착한 결과물이다. 따라 서 캔버스에 나타난 유동하는 듯한 가벼운 선은 대양의 무한한 공간 위에서 일시성과 영원 성이라는 텍스트와 상응한다. 만약, 시와 회화가 동의어라면 이로써 화가는 ‘회화의 시인’이 된다. . 화면에 발현되는 김이오의 시적 상상력은 우리에게 새로운 미의식을 선사할 뿐 아니라 다양한 표현방식을 이해하는 근거가 되며 무엇보다 관람자에 따라 다르게 읽힐 수 있는 열 린 텍스트를 제공한다. 2021년, ‘불확정성의 경계’에서 내부와 외부의 상응을 직관한 김이오 는 회화를 통해 시를 전달하고 있다.



The Boundary of Undecidability: Correspondence Kim Heo-Kyung


The relevance of the contemporary painting springs not only from its reflection of our historicity, but also from the originality and imagination that capture the yet unrealized possibilities of our transient life. The creativity of the aesthetic expression is, in other words, deeply embedded in its methodological demonstrability of the social milieu as well as the artist’s autonomy and her inner purity. In 2020, Kim25 began exploring the duality of the ‘boundary of undecidability’ that lies between inside and out, and sought to capture this complicated relationship. with her work “The Truth of Mystery.” In 2021, this series, “The Truth of Mystery” reveals its shape as the figure of the text at the point where inside and outside, inner world and outside reality, correspond. What is remarkable in Kim25’s painting is that the undecidability of the boundary that belongs to both inside and outside turns into the very (textual, perhaps inter-textual) substance; the undecidability of the boundary becomes, through the artist’s kiasmatic logic, the boundary of undecidability that re-doubles the boundary and the object(s) and thus problematizes the boundariness of the boundary. Here, waves in Kim25’s painting rise from the abyss to the boundary of undecidability at the surface as the ‘truth of mystery,’ a textual figure created on the wave lines where internal and external fluidity correspond. The waves in the painting express the natural and emotional intensities with their rippling undulations and vibrant colors. Kim25’s waves are Baudelairian in the sense that they are the traces of movements and their interactions rather than an artificially imposed division, just as Charles Baudelaire asserts that, due to nature’s continuous movement, there are no straight lines, while colors do exist. Kim25 not only refuses straight lines; she also makes connections through the flowing curves of the inner self and the other, to carve out the contours of an image that is yet buried under the realm of unconsciousness. Here, precisely because the text generated from the flowing curves does not split of bifurcate into the two compositional elements of line and color, it forms a “shape” or a moving figure. Then, what does the text figure mean, that is, on the undulating waves, continuously created and interpreted? The text figure shaped by Kim25 is an unknown echo that can be composed only at the borderline between the self and the world: the boundary of undecidability. The artist’s method of textual figuration, as she said, comes from her encounters with Antoine de Saint-Exupéry’s The Little Prince, Ernest Hemingway’s Old Man and the Sea, and Arthur Rimbaud’s Illuminations, and others, where she was able to read the visualized materiality of feelings, emotions, and affects inscribed in the words and sentences of their writing. She also added that 19 th century French literature, in particular, provides her with an opportunity to go beyond mere imitation of nature and move toward the infinite longing and artistic imagination for free self. Perhaps that is why Kim25’s canvas is full of the rhythm and flow of rolling waves imbricated with the restrained text containing intellectual aspiration, experimental passion, and human desire and frailty. In light of the focalization on the two essential painting elements of line and color, Kim25 moves toward the liberation of color and the autonomy of line through the winding curves that are actually made up of the flow of textual letters. Furthermore, the artist’s original brush strokes on the canvas go beyond the hierarchical order of conventional painting and resist the limitations of frames and rules of the reified thoughts. Kim25’s artwork is the result of her endeavor to materialize the precise point at which lines and colors encounter each other, rather than staying with the fixed idea of the primacy of line over color. The ethereal lines, foregrounded on her canvas against the infinite space of the ocean, correspond to the textual inscription of transience and eternity. For the artist, the boundary between poetry and painting is porous and she may well be called a ‘poet of painting’. Kim25’s poetic imagination that manifests itself on her canvas not only gives a new sense of aesthetics through which viewers can communicate with the newly expressed reality, but also facilitates the invitation to various interpretative participations. In 2021, the artist Kim25 delivers poetry through painting by locating the boundary of undecidability that lies at the correspondence between inside and out.